사회복지사의 정의는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 지식이나 기술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그렇다면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사회복지란 국민의 생활 향상과 사회 보장을 위한 사회 정책과 시설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따라서 사람들이 가지는 욕구나 문제 등을 해소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여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사회복지사의 다양한 기준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기능에 따라 나누게 되면 다섯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 대면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두 번째는 체계와 연결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는 종종 기존의 사회기관이 제공하지 못하는 자원을 필요로 하고, 정보가 부족하거나 그것을 이용할 능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사람들을 다른 자원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부적으로는 중개자, 조정자, 중재자, 클라이언트 옹호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세 번째는 체계 유지 및 강화하기이다. 사회복지서비스기관의 직원으로서 사회복지사는 서비스를 전달할 때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기관 내의 구조, 정책, 기능적 관계를 평가할 책임이 있다. 따라서 조직 분석가, 촉진자, 팀 구성원, 자문가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네 번째는 연구 조사 및 활용하기이다. 사회복지사는 평가 가능한 개입방법을 선택하여 그들의 개입방법에 대한 효과성을 평가하고, 체계적으로 클라이언트의 발전을 모니터 하기 위해 공적, 사적 세팅 모두에 평가할 책임이 있다. 이러한 과정을 위해 사회복지사는 연구를 수행하고 활용해야 한다. 다섯 번째는 체계 개발하기이다. 사회복지사는 기관의 서비스를 확대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체계 발전과 관련된 역할들을 담당한다. 그러기 위해서 프로그램 개발자, 기획가, 정책과 절차 개발자, 옹호자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기능이 아닌 개입 수준에 따라 나누기도 하는데, 미시차원, 조직 차원, 거시 차원, 전문가 차원 이렇게 나뉜다. 미시 차원에서는 조력자, 중개자, 옹호자,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고, 조직 차원에서는 촉진자. 중재자, 훈련가의 역할을 수행한다. 거시 차원에서는 계획가, 행동가, 현장 개입가의 역할을 수행하며, 전문가 집단에서는 동료, 촉매자, 연구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법제 - 사회보장기본법과 사회보장의 구성요소 (0) | 2021.07.08 |
---|---|
사회복지법제 - 사회복지법의 원리 (0) | 2021.07.03 |
사회복지법제 - 사회복지수급권의 법률적 성격 (0) | 2021.07.01 |
사회복지법제 - 생존권의 실천 원리 (0) | 2021.06.28 |
사회복지법제 - 근대 민법의 3대 원칙과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 (0) | 2021.06.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