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회복지48

사회복지실천의 원칙 - 비에스텍, 관계의 7가지 원칙 사회복지실천 과정에서 클라이언트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위해서 지켜야할 원칙에 대해서 말할 때 빠지지 않는 것이 비에스텍의 7가지 원칙입니다. 비에스텍은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 개별적으로 관계를 맺어, 궁극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사회복지사가 지킬 7가지 원칙을 제시하였습니다. 1. 개별화 첫 번째 원칙은 개별화입니다. 개별화는 클라이언트 개인의 독특한 자질을 알고 이해하는 것이며, 실천 과정에서 개인마다 다른 원리와 방법을 활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람들은 각기 다른 경험을 갖고 있으며, 서로 다른 환경에서 생활하고, 다른 사고, 감정 등을 가진 존재입니다. 클라이언트는 독특한 차이를 가진 한 인간으로 다루어지기를 바랍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를.. 2021. 5. 10.
사회복지 실천 관점과 학교사회복지실천 모델 1. 사회복지실천 관점 - 패러다임, 관점/시각, 이론, 모델 - 실천관점 : 실천에 관해 생각하고 바라보는 특정한 방식 - 실천이론 : 어떤 행동이나 상황에 대한 설명과 어떻게 그런 행동이나 상황이 변화될 수 있는지에 관한 지침 제공 - 실천모델 : 어떤 개입 활동을 안내하는 데 사용되는 개념과 원리의 종합으로 행동에 관한 특정 설명에 얽매이지 않음 1) 생태체계적 관점 : 생태학 + 일반체계이론, 환경 속의 인간 - 일반 체계 이론 : 상호의존적, 인간을 통합된 하나의 전체로 간주 - 생태학 : 생물 집단과 환경 간의 상호관계를 고찰, 생태학과 일반 체계 이론의 통합 시도, 개인이 새로운 환경의 요구에 적응하는 것을 강조 - 학교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 학생을 둘러싼 다양한 주변 환경체계와 그들과의 .. 2021. 5. 6.
학교사회복지론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직무, 실천 윤리) 1. 학교사회복지사 역할과 직무 1)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특성 - 고정된 것이 아니라 나라, 시대적 상황, 지역사회, 학교, 학생들의 변화하는 다양한 문 제나 욕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학교 안 유일한 사회복지사, 학교 내외에 존재하는 타 전문직 및 타 기관들과 협력 - 학교사회복지사의 주요 역할 : 임상사회사업가, 교육적 상담가, 학생-학교-가정-지역사 회 연계자, 지역사회 자원 동원가, 정책입안자 등 - 학교사회복지사 역할 수행 시 장애요인 : 진입 시 장애, 전문가 영역의 장애, 조직 체계 의 장애, 외부 체계와의 장애, 클라이언트 영역의 장애 2)학교사회복지사 직무 - 직무란 역할을 구체화한 것 - 학교사회복지사 직무의 우선순위 : 개별개입 – 지역사회개입 – 가족개입 – 일반행정 및 기타.. 2021. 5. 6.
학교사회복지론, 학교에 대한 이해 (학교의 기능. 학교 조직에 대한 이해) 1. 학교의 기능 - 삶의 공간, 배움의 공간, 사회화의 공간, 직업 및 사회적 실천을 위한 공간 - 학교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들 간의 관계가 중요하며, 학생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을 해야 함 2. 학교 조직의 이해 1) 수평적 구조 : 경력에 따른 교사의 역할에는 차이가 없고 상호 수평적인 구조 2) 이완 결합 체계 : 조직의 하위 요소들이 서로 연결되어있지만 독자성을 유지되면서 분리돼 어 있음 3) 수직적 구조 : 교육행정체계의 가장 하위조직, 일방적인 권한 집중을 막기 위해 학교 운영 위원회 등의 각종 위원회 설치 4) 전문적 관료제 : 전문화와 분업화, 엄격한 권위의 계층, 통일성을 위한 규칙, 전문적 능 력이 기초한 채용 5) 교사의 영향력 : 초, 중등학교에서는 담임교사.. 2021. 5.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