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중 모델1 장애인복지론 (개별적 모델, 사회적 모델, 다중 모델) 1. 개별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 개별적 모델은 의료적 모델이라고도 불리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장애 문제 발생의 위치가 개인이라는 것. 둘째, 문제의 원인이 기능적 제한이나 심리적 손상에 기인한다는 것이다. 이 관점은 장애는 불행한 개인에게 무작위적으로 발생하는 사건이라는 개인적 비극 이론을 구성한다. 개별적 모델은 개별적 치료나 재활, 전문가의 지원, 훈련과 통제 등을 통해 개별 사회 적응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치료나 재활 관련 전문가의 역할이 절대적이다. 이 모델에 대한 비판으로는 장애의 사회적 측면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장애가 다양한 사회 환경에 따라 신체적 손상의 결과의 차이를 보이는 현상을 설명하지 못한다. 또한 장애의 생물학적 손상을 강조하여, 장애인이 사회적으로 열등.. 2021. 5. 3. 이전 1 다음 반응형